소중한 나의 보물들/LinkStation

LS2 FreeLink에 webmin 설치하기

Ji-seong 2008. 2. 22. 13:00

1. webmin 설치

벌써 6번째 글을 쓰게 되네요. 이번에는 webmin이라는 웹관리툴입니다. FreeLink 펌웨어를 설치하면 버팔로의 기본펌웨어나 OpenLink에서 제공하는 웹툴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걸 대체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웹민을 설치하면 할 수 있는 일을 간단히 소개하면

1. 계정관리

2. Apache 설정 및 관리

2. Proftpd 설정 및 관리

3. Mysql 설정 및 관리

4. Samba 설정 및 관리

5. 서버 관리

등등등 쉘상에서 하는 일을 모두 웹에서 관리 가능합니다.


일단 코어를 먼저 설치하고 기타 필요한 패키지만 깔면 됩니다.


현재 webmin이 데비안 stable 패키지에서 빠져 있기 때문에 /etc/apt/source.list 파일을 이렇게 수정합니다.

deb http://mirrors.kernel.org/debian/ oldstable main contrib non-free
deb-src http://mirrors.kernel.org/debian/ oldstable main contrib non-free
deb http://security.debian.org/ stable/updates main contrib non-free
deb-src http://security.debian.org/ stable/updates main contrib non-free

수정후 apt-get update 로 업데이트 합니다. webmin 설치 후에는 /etc/apt/source.list 파일을 원래대로 수정하고 apt-get update 합니다.


이제 webmin과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apt-get install webmin webmin-core wembin-samba webmin-mysql webmin-firewall webmin-inetd webmin-proftpd  webmin-logrotate

기본적인 것은 webmin webmin-core 입니다. 저는 samba와 mysql, proftpd를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한 것입니다. 기타 다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설치후 /etc/webmin/miniserv.conf 파일에서 아래 항목을 수정합니다.
allow=0.0.0.0

webmin에 접속할 ip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0.0.0.0은 IP제한을 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이제 /etc/init.d/webmin start 하고서 웹브라우저로 https://링크스테이션IP:10000 으로 접속합니다.

아이디 패스워드는 root 아이디 패스워드 입니다.


접속후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면 좀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webmin 사용방법은 http://doxfer.com/Webmin 여기를 참조하시고

모듈 사용방법은 http://doxfer.com/Webmin/Modules  참조하시면 될겁니다.


저처럼 쉘상에서 관리하는게 편하신 분은 쉘상에서 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만 아직 리눅스에 덜 익숙한 분이나 원격지에서 ssh등으로 접속이 불가능할 때 웹관리툴을 이용해서 작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oldstable 을 사용하기 그렇다면 webmin 사이트(http://www.webmin.com/)에서 최신 버전을 받습니다.

wget http://prdownloads.sourceforge.net/webadmin/webmin_1.340_all.deb
apt-get install libnet-ssleay-perl  openssl libauthen-pam-perl libpam-runtime libio-pty-perl
dpkg -i webmin_1.340_all.deb

설치는 위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