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올리는 활용팁이네요.


보통 네트워크 하드를 구입하게 되면서 FTP, WEB, SAMBA등을 이용하게 됩니다. 여기에 백업의 기능을 하나 더 추가해보고자 합니다.


링크스테이션의 경우 자체 백업툴이 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자기가 원하는 파일이 자동으로 백업이 됩니다.  이 백업툴은 삼바 공유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삼바를 이용하기 때문에 펌웨어를 핵펌하더라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간편하게 사용한다면 이 백업툴을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지금 부터는 rsync를 사용하는 이유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rsync는 백업툴은 아닙니다. 원격이나 로컬에서 파일을 싱크하는 편리한 툴입니다. 윈도우의 카피 보다 전송속도 등에서 장점이 있으며, 여러가지 옵션이 있어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보통 두대의 웹서버를 동기화한다는가 할 때 사용합니다.


각설하고 먼저 설치부터 해야겠지요.

apt-get install rsync로 설치는 끝입니다.

설정 파일은 /etc/rsync.conf 입니다.

간단한 제 설정 파일입니다.

상단의 몇가지는 기본설정이 됩니다. []로 둘러싸인 부분이 백업받고자 하는 디렉토리 설정입니다. 보시면 두가지가 다른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자신의 용도에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 설정파일은 수정즉시 반영이 됩니다. 참고로 path에 설정된 파일은 미리 만들어 두셔야 합니다. 그리고 rsync의 경우 최상위 디렉토리를 만들지 못합니다. 혹시 백업시 에러가 난다면 그 상위 디렉토리를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uid = root
gid = nogroup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max connections = 4
syslog facility = local5


[MyBackup]
  comment = MyBackup
  path=/home/lum34/MyBackup
  read only = no
  list = no

[gallery]
  comment = gallery backup
  path=/home/lum34/gallery  read only = no

  uid = nobody
  gid = nogroup
  hosts allow = x.x.x.x


이제 /etc/init.d/rsync start로 데몬 모드로 실행하면 끝입니다.


이제 deltacopy를 설치합니다. deltacopy는 윈도우용 rsync 프로그램입니다. 자체적으로 서버모드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서 윈도우 컴끼리 원격으로 싱크를 맞출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는 http://www.aboutmyip.com/AboutMyXApp/DeltaCopy.jsp 여기서 설치 파일을 받으셔도 되고 그냥 압축풀면 되는 파일을 받으셔도 됩니다.


설치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Add New Profile을 클릭합니다. 작은 창이 하나 뜰겁니다.

거기에 설정에 맞게 입력합니다.

Profile Name : BACKUP

Server IP : x.x.x.x

Virtual Directory Name: MyBackup

혹시 모르니 Test Connection 한번 클릭해보시는 것도 좋을 겁니다.


이제 프로파일 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Add Folder 나 Add File로 백업할 대상을 정합니다.

설정이 되었으면 프로파일을 오른쪽 클릭하시고 Run Now를 합니다. 그럼 백업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options/Additional Parameter에 집어 넣으면 bak파일과 My Documents 디렉토리는 백업을 안하게 됩니다. 디렉토리의 경우 / 를 꼭 넣으세요. 단 BAK 파일은 는 백업된다는 거. 대소문자 구분합니다.

 --exclude='*.bak' --exclude="My Documents/"

이제 자동으로 백업되게 하려면, Add Schedule로 윈도우의 예약된 작업에 추가합니다.


추가적으로 유니코드로 이름이 된 파일과 255자 넘은 파일은 deltacopy가 인식을 못합니다.


Posted by Ji-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