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즐거움/OS'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09.10.31 Debian Etch에서 apt-get update시 public key 오류 by Ji-seong
  2. 2009.05.29 인터넷이 계속 꺼질때 (mshtml.dll 오류) by Ji-seong
  3. 2008.12.14 Kubuntu root login방법 by Ji-seong
  4. 2008.10.28 한/영 변환이 되지 않는 경우 해결방법 by Ji-seong
  5. 2008.10.14 하드디스크 mount시키기 by Ji-seong

apt-get update를 할 때.. (혹은 dselect에서 update..)

W: There are no public key available for the following key IDs:
A70DAF536070D3A1
W: You may want to run apt-get update to correct these problems

위와 같은 오류 발생..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gpg-key를 변경했다는 것 같으니 바꿔주자..

# gpg --keyserver wwwkeys.eu.pgp.net --recv-keys A70DAF536070D3A1
gpg: directory `/root/.gnupg' created
gpg: new configuration file `/root/.gnupg/gpg.conf' created
gpg: WARNING: options in `/root/.gnupg/gpg.conf' are not yet active during this run
gpg: keyring `/root/.gnupg/secring.gpg' created
gpg: keyring `/root/.gnupg/pubring.gpg' created
gpg: requesting key 6070D3A1 from hkp server wwwkeys.eu.pgp.net
gpg: /root/.gnupg/trustdb.gpg: trustdb created
gpg: key 6070D3A1: public key "Debian Archive Automatic Signing Key (4.0/etch) <ftpmaster@debian.org>" imported
gpg: no ultimately trusted keys found
gpg: Total number processed: 1
gpg:               imported: 1
# apt-key add /root/.gnupg/pubring.gpg
OK

A70DAF536070D3A1 대신 위 오류 메시지에 키값을 입력해주면 된다..

이제 정상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Posted by Ji-seong



1. 우선 나의 오류가 mshtml.dll 오류인가를 알아봐야겠다.

그렇기 위해서는 오류가 뜨는 타이밍을 잡아야된다. 다음 스샷을 보면 오류가 뜬 화면이다. 잘 읽어보면 '이 오류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시오' 라고 써져있다. 클릭해보자.
 

2. 클릭하였더니 오류의 상세내용이 나온다.

오류는 iexplore.exe(인터넷프로그램)에서 나왔고 인터넷의 버전은 7.0.5730.13이고 mshtml.dll 에서 오류가 나왔다고한다. 무슨 소리인지는 모르겠지만 mshtml.dll 에서 오류가 발생한것같다.

3. mshtml.dll 파일이 오류이니 mshtml.dll 파일을 교체해볼까?

막상 교체를 하면 해결이 될것같지만 아무 mshtml.dll 파일이면 되는 것이 아니다. 6이나 7버전이나 동일한 이름의 mshtml.dll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인터넷버전에 맞게 교체해줘야한다. mshtml.dll 은 C:\windows\system32\ 폴더에 들어있다. mshtml.dll 의 등록정보에서 버전을 찾아보자. 글쓴이의 버전은 7.0.5730.13 이라고 나온다.

 
4. 헌데 mshtml.dll 을 어디서 구하지?

주변에 ie7 사용자를 찾기가 쉽지 않은지라 구하기가 곤란했다.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 공식사이트에서 ie7 설치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프로그램의 압축을 풀어서 구했다.



압축을 풀었더니 mshtml.dll 이 보인다.


5. 이제 덮어씌우자

버전이 동일한지 확인하고 이 mshtml.dll 을 system32 폴더에 덮어씌우면 끝난다.
덧붙여서 이 작업은 안전모드에서 하는 것을 권장한다.

ps. 첨부파일로 2종류의 mshtml.dll 을 올렸으니 필요하신 분은 사용하삼

Posted by Ji-seong



리눅스에서 개발 업무를 하다 보면 관리자(root)의 권한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ubuntu, kubuntu와 같은 devian 계열은 root로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root로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임의로 설정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번에는 KDE에서 쓰는 '카테'라는 에디터를 이용해 보도록 하겠다.

주의 : root로 로그인하는 것을 막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root를 사용해야할 필연적인
이유가 없다면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또한 root 계정으로 로그인 시에 여러가지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세부 설정을 일일이 직접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결론은, 왠만하면 사용자 계정으로 쓰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이 유틸리티-> 카테 를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ate(카테)가 실행된 후, 열기 아이콘을 클릭하고 경로를 쓰는 란에 /etc/kde3/kdm 이라고
입력한다.
그러면 폴더안에 kdmrc라는 파일이 있는데 이를 선택하고 열기를 누르면 파일이 열리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일엔 현란한 영어로 뭐라고 적혀 있지만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부분만 고치면 된다.
ctrl+f 키를 눌러서 AllowRootLogin 항목을 찾는다.
그러면 기본적으로 false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것을 true로 고쳐준 후 저장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저장을 하려고 하면 권한이 없다면서 되지 않는데,
kdmrc 라는 파일이 일반 사용자는 수정할 수 없도록 권한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과 같이 차례대로 진행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tc/kde3/kdm  경로로 이동한 다음
kdmrc 파일의 권한을 변경해 주는 것이다. : chmod (권한 변경)

이렇게 하면 kdmrc 파일을 원하는 대로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주의할 점은 이렇게 권한을 변경해서 수정한 다음 다시 원래대로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또한가지, root로 로그인 하려면 root 암호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설정하지 않고 root로 로그인하려 하면 비밀번호가 먹히지 않는다.

root 비밀번호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스템 설정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데,
User Management 메뉴를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 설정 화면에서 '관리자 모드..' 메뉴를 클릭하여 권한을 얻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창 주변에 빨간 테두리가 입혀 지면서 관리자 권한을 가졌다는
 것을 알려 준다.
처음에는 사용자 계정 하나만 보이는데 시스템 계정 보이기를 체크 하면 보이지 않던 여러개의
시스템 계정이 모두 보이게 된다.
우리가 수정할 것은 이중에서 root 계정이므로 찾아서 선택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root 계정을 선택하고 아래에 활성화된 변경 버튼을 누른다.

root 계정은 자물쇠 그림이 하나 보이면서 잠겨 있다고 표시돼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면 설정창이 하나 뜨는데, 먼저 자세한 정보(details) 란을 선택하여

비활성된 root 계정을 활성화 시켜주어야 한다.

disable(비활성) --> enable(활성화)

그런 다음, 다음 그림과 같이 암호와 보안 탭을 선택하고

비밀번호란에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dmrc 파일의 수정, 저장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까지 완료 했다면 쿠분투를 재시작 한다.
로그아웃만 하면 안되고 완전히 껐다가 켜야한다.

재부팅 되고 나면 사용자 계정 하나만 뜨던 로그인 화면에 root 계정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조금전에 설정한 root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면 된다.

root로 로그인 하고 나면 메뉴 항목이 한글이 아닌 영어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면 된다.

vi /root/.prorfile  로 .profile 파일을 연 다음

LANG = C
LANGUSAGE = C

부분을 다음처럼 수정해 준다.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en_GB:en"
Posted by Ji-seong



익스플로러나 MS 오피스에서 가끔 한/영 변환 입력이 되지 않는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럴때 마다 컴퓨터를 껐다가 키면 되는경우도 있고 익스플로러를 껐다가 다시 키면
되는경우도 있고.. 또 안될때도 있고 정말 힘들때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이 있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먼저 [시작]-[실행] 하신뒤


라 입력하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신뒤
 
다시 [시작]-[실행] 하신뒤


라 입력하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시고 나서
 
컴퓨터를 재부팅하시거나 열려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을 다 닫았다가 다시 열고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같은 증상이 되풀이 되거나 하지 않습니다.
Posted by Ji-seong


# fdisk -l

파티션 현황이 나올겁니다.
이 중에서 마운트하고자 하는 파티션이 무슨 "Device"명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예: /dev/hda2)
그런 다음 아래와 같은 마운트 명령으로 마운트하면 됩니다.

# mount /dev/hda2 /media/data
※ 위 명령을 넣기 전에 /media 경로 밑에 data라는 디렉터리를 만들어 놓아야 겠지요. (이름은 사용자 마음대로...)

자동으로 마운트 시키고자 할 경우,

/etc/fstab 파일을 텍스트로 열어서 다음을 추가 합니다.

/dev/hda2 /media/data auto
Posted by Ji-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