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Station'에 해당되는 글 15건

  1. 2008.02.22 LS2에 FreeLink 설치하기 2 1 by Ji-seong
  2. 2008.02.22 LS2에 FreeLink 설치하기 1 by Ji-seong
  3. 2008.02.22 LS2 하드 디스크 교체2 by Ji-seong
  4. 2008.02.22 LS2 하드 디스크 교체 by Ji-seong
  5. 2008.02.22 LS2 제품의 특징 by Ji-seong

1. 펌웨어 설치하기

펌웨어 업은 AS를 받지 못할 수도 있으면 LS2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Freelink 펌웨어를 받은 뒤에 압축파일내에 있는 HD-HLAN FWUpdate.exe 를 실행하여 펌웨어를 업한다.

첫번째 글에서 쓴 것 처럼 PC와 LS2와는 직접 연결을 권한다.

펌웨어 업전에 LS2 IP는 버팔로에서 제공하는 IP setup utility를 사용하여 192.168.11.150 / 255.255.255.0 으로 설정한다. PC의 랜카드는 192.168.11.1 /2 255.255.255.0 으로 해준다.


펌웨어업을 하는 동안 전면부의 두개의 LED가 점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상적으로 펌웨어 업이 끝나면 파워와 네트워크 LED만 켜져 있게 된다.

 펌웨어 업후 ssh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기본주소는 192.168.11.150 이고 포트는 22 이다. ssh 프로그램은 putty를 권한다. kldp.net에서 한글판을 받을 수 있다.


2. 펌업 후 처음 할일

2-1.  ssh로 LS2에 접속

putty로 처음 접속시 계정 : root  비번 : freelink 이다. 접속 후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서 비번을 변경한다.

이왕이면 adduser 명령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여 그 계정으로만 접속하고 root로 접속하지 않는 것이 보안상 좋다. 필요하면 su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2-2. ip 설정 바꾸기

자신이 사용할 IP로 설정을 바꾼다. /etc/network/interface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단 DHCP는 첫번째 글에서 언급했듯이 선택하지 않는다. DHCP로 설정시 LS2가 IP를 받아오지 못하여 LS2에 접속하지를 못하게 된다. 스태틱으로 IP를 설정한다. 공유기에서도 LS2에 항상 일정한 IP를 주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공유기에서 LS2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고정된 IP를 주도록 하자.

필자의 /etc/network/interface 설정이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0.5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gateway 192.168.0.1


2-3. /etc/resolve.conf 수정

네임서버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

필자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이 사용하는 인터넷에 따라서 nameserver는 수정한다.

#
# resolv.conf  This file is the resolver configuration file
# See resolver(5).
#
search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2-4. 공간 확보

freelink 는 기본적으로 데비안 리눅스 이다. 데비안의 경우 설치시 /usr 와 /var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현재 설정된 파티션으로는 몇몇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꽉 차게 된다. 그러니 미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다.

tar를 이용하여 /usr 와 /var /home 디렉토리를 /mnt/hda으로 이동하도록 하자.

권한이 바뀌면 안되므로 tar의 p 옵션을 사용하자.

묶을 때는 이렇게 하면 된다.

tar cpf usr.tar /usr 

풀때는 이렇게 한다.

tar xpf usr.tar


/var과 /home 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mnt/hda으로 옮긴다.


옮긴후 /etc/fstab을 수정한다.

필자의 설정이다.

#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
#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dev/hda1       /               ext3    defaults,noatime,errors=remount-ro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hda2       swap            swap    defaults                        0 0
/dev/hda3       /mnt/hda        ext3    defaults,noatime                0 0
/mnt/hda/home   /home           none    bind
/mnt/hda/usr    /usr            none    bind
/mnt/hda/var    /var            none    bind


-------------------------------------

mount -a 명령으로 옮긴 디렉토리를 마운트 한다.


옮긴 디렉토리가 잘 되었는지 /usr 와 /var /home 에 들어가서 확인해본다.

리부팅을 해봐서 이상이 없다면 잘 된 것이다.


이제 기존의 /usr , /var, /home 디렉토리를 삭제할 차례이다.

/mnt/hda 에 temp 디렉토리를 임시로 만든다.

/dev/hda1 디렉토리를 /mnt/hda/temp에 마운트 시킨 후 /mnt/hda/temp/usr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삭제한다.

단, 삭제시 혹시나 현재 작동되는 /usr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실수를 범하지 말기 바란다.

그럴때는 위의 tar 파일로 즉시 복구하면 된다.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mount -t ext3 /dev/hda1 /mnt/hda/temp
cd /mnt/hda/temp/usr
rm -r *


같은 방법으로 /var과 /home을 처리한다.


단 /usr /var /home 폴더는 빈 폴더가 원래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위의 명령어도 본래 폴더를 지우지는 않습니다.


reboot후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


무탈님이 bind를 써서 mount 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하시는군요.  /etc/fstab을 수정하여 mount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간단한 방법은 심볼릭 링크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디렉토리 옮기고 ln -s /mnt/hda/usr /usr 이런식으로 심볼릭 링크를 걸어주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단 심볼릭 링크시는 fstab은 수정하실 필요없습니다.

간단히 명령을 써보았습니다.


cp -Rdp /usr /mnt/hda/
rm -R /usr
ln -s /mnt/hda/usr /usr

cp -Rdp /var /mnt/hda/
rm -R /var
ln -s /mnt/hda/var /var

cp -Rdp /home /mnt/hda/
rm -R /home
ln -s /mnt/hda/home /home


데비안 패키지 업데이트는 다음에 또...


Posted by Ji-seong


1. 들어가면서


LS2 120기가짜리가 저렴한 가격에 나오면서 하나 구입하게 되었다.


집에 있는 컴들의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FTP서버, XBOX에서의 활용이 목적이었다.


일단 집의 네트워크 상황은 이렇다.

FTTH 광랜

IPTIME 유무선 공유기 G104

다운로드 전용 PC (VIA 667Mhz로 40mm 팬이 하나 달려있지만 날이 더워지기 전에는 팬구동을 안하는 무소음 PC)

XBOX (개조된 것으로 영화, 게임등을 이용한다)

메인피시

RW6100

NDSL

FON 공유기

-----------------------------------------------------------------

LS2를 처음 구매하고 설치를 하면 위의 기기에서 활용가능한 것은 PC 2대와 XBOX에서 삼바 공유정도이다.

FTP는 활용가능한 정도로만 설정되어 있다.


사실 쓰기에는 전혀 상관없지만,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이 조금 아쉽다.


무언가 추가된 기능이 있었으면 하는게 인지상정이다.


필자가 핵펌하면서 원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Proftp와 MySql을 연동하여 가상 사용자로 FTP 운영

APM 설치 (간단한 위키 운영으로 메모장 활용)

ITunes 서버 설치 (XBOX와 PC에서 음악듣기)

ccxstream 설치로 XBOX에서 영화보기 (ccxstream이 samba공유보다 CPU 부하가 더 적다고 알려져 있다.)

VLC 설치로 비디오 스트리밍하기

torrento 설치하기

gnump3로 외부 내트워크로 스트리밍

USB-Serial로 컴과 연결하기


2. 핵펌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LS2에 핵펌을 하기 위해서는 http://www.linkstationwiki.net에서 글을 읽어보기를 권한다.

초보 사용자라면 OpenLink를 권하고 리눅스에 어느 정도 익숙하다면 FreeLink를 권한다.

사실 펌웨어 업하다가 실패할 가능성도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필자도 펌웨어 업하면서 외부에서 전혀 기기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 적도 있고, 그래서 기기를 분해해서 다시 살린 적도 있다.

사실 펌웨어 업하는 것과 기기 분해는 AS를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면을 걱정하는 사용자에게는 권하고 싶지 않다.


간단히 주의사항을 언급하자면


- 펌웨어 업은 LS2와 PC를 직접 연결하기를 권한다. 필자는 OpenLink 펌업시 그냥 공유기에 연결해서 펌업한적도 있다. 물론 문제는 없었다. FreeLink도 공유기를 써서 하다가 분해를 해야 했다.


- FreeLink는 DHCP를 지원하지 않는다. 지원하는게 정상이지만 실제는 지원하지 않는다. IP를 DHCP 서버에서 받아오지를 못한다. 당연히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해해서 하드 파티션을 지우고 펌업을 다시 해야 한다.


- 설마 망가지겠어 하는 자신감이 필요하다. 수차례 두가지 종류의 펌업을 하면서 기기도 많이 뜯었고 했지만 생각보다 튼튼했다.


이제 실제 설치는 다음에 계속.


Posted by Ji-seong


역시 리눅스 기반이다 보니 꼼수가 있군요.. Linkstaionwiki 에서 퍼옵니다.


핵펌등의 정보도 있습니다..


http://linkstationwiki.org



linkstation 의 하드 디스크 교체


1. Start by making a backup of your existing hard drive. See GeneralBackup for instructions on how to perform a backup.

2. Download a Knoppix bootable Linux CD (see http://www.knoppix.org), place the new hard drive in a workstation, and boot using the Knoppix CD.

3. Now you need to partition the hard drive according to your needs (replacing “x” with whatever letter you have installed the hard drive as):

 fdisk /dev/hdx

4. The standard LinkStation setup uses 3 partitions, hda1 (main ~ 400MB), hda2 (swap ~ 300MB), and hda3 (mount ~ remaining). If you want a larger main partition you should do so at this time. Restore your backup:

 dd if=/mnt/whatever/hda1.bin of=/dev/hda1

5. You must run fix_ext2_magic, check for errors, and resize the backup image if you created a larger main partition:

 ./fix_ext2_magic —fix /dev/hdx1
 e2fsck /dev/hdx1
 resize2fs /dev/hdx1

6. You may have to use the force option (-f) if resize2fs complains about not running e2fsck. Next create the ext2 filesystem and swap partition. You can turn off drive checking since we are using ext2 with journaling:

 mke2fs -j /dev/hdx3
 tune2fs -c0 -i0 /dev/hdx2
 mkswap /dev/hdx2

7. Place the hard drive in the LinkStation and reboot. Be patient as the first boot may take longer than normal.

Some of this information courtesy of http://www.geishuettner.de/docs/Linkstation/.


Posted by Ji-seong


120기가 하드가 아무래도 모자라서 400기가 하드를 하나 구입하고 지금 현재 교체중입니다.

원래 장착된 하드는 WD1200BB였고 새로 장착한 하드는 WD4000AAKB입니다.

위키에는 LS2의 경우 320기가까지 교체한 경우가 있었고, 제품도 300기가까지 나와 있지만 모험을 감행해보았습니다.

400기가 안되면 컴퓨터에 달면 되지 하고 샀습니다. 500기가를 생각해봤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더군요.

발열이 제일 걱정인데 120기가의 경우 모니터링 결과 35-40도 정도였습니다.
400기가의 경우는 어떨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펌업은 FreeLink로 했고이제 다른  어플 설치 중입니다.

교체하면서 특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케이스 분해 및 하드 탈착은 http://linkstationwiki.net/index.php?title=Disassemble_the_LinkStation 여기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하드 교체를 위해서는 파워부분을 제거하고 하드를 들어내면 됩니다.

단 파워 부분의 콘덴서는 되도록이면 건드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감전또는 회로의 쇼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서 파워를 제거하고 장시간 방치후 분해하시기를 권합니다.

교체후 온도 체크해보았는데 비슷한 온도를 보입니다. 400기가로 교체하셔도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돈이 된다면 500-750기가로 교체해 볼 생각입니다.


Posted by Ji-seo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Ji-s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