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2에 FreeLink 설치하기 2
1. 펌웨어 설치하기
펌웨어 업은 AS를 받지 못할 수도 있으면 LS2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Freelink 펌웨어를 받은 뒤에 압축파일내에 있는 HD-HLAN FWUpdate.exe 를 실행하여 펌웨어를 업한다.
첫번째 글에서 쓴 것 처럼 PC와 LS2와는 직접 연결을 권한다.
펌웨어 업전에 LS2 IP는 버팔로에서 제공하는 IP setup utility를 사용하여 192.168.11.150 / 255.255.255.0 으로 설정한다. PC의 랜카드는 192.168.11.1 /2 255.255.255.0 으로 해준다.
펌웨어업을 하는 동안 전면부의 두개의 LED가 점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상적으로 펌웨어 업이 끝나면 파워와 네트워크 LED만 켜져 있게 된다.
펌웨어 업후 ssh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기본주소는 192.168.11.150 이고 포트는 22 이다. ssh 프로그램은 putty를 권한다. kldp.net에서 한글판을 받을 수 있다.
2. 펌업 후 처음 할일
2-1. ssh로 LS2에 접속
putty로 처음 접속시 계정 : root 비번 : freelink 이다. 접속 후 passwd 명령을 이용하여서 비번을 변경한다.
이왕이면 adduser 명령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여 그 계정으로만 접속하고 root로 접속하지 않는 것이 보안상 좋다. 필요하면 su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2-2. ip 설정 바꾸기
자신이 사용할 IP로 설정을 바꾼다. /etc/network/interface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단 DHCP는 첫번째 글에서 언급했듯이 선택하지 않는다. DHCP로 설정시 LS2가 IP를 받아오지 못하여 LS2에 접속하지를 못하게 된다. 스태틱으로 IP를 설정한다. 공유기에서도 LS2에 항상 일정한 IP를 주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공유기에서 LS2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고정된 IP를 주도록 하자.
필자의 /etc/network/interface 설정이다.
auto lo
iface lo inet loopback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168.0.5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gateway 192.168.0.1
2-3. /etc/resolve.conf 수정
네임서버 설정을 하는 부분이다.
필자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자신이 사용하는 인터넷에 따라서 nameserver는 수정한다.
#
# resolv.conf This file is the resolver configuration file
# See resolver(5).
#
search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2-4. 공간 확보
freelink 는 기본적으로 데비안 리눅스 이다. 데비안의 경우 설치시 /usr 와 /var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현재 설정된 파티션으로는 몇몇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꽉 차게 된다. 그러니 미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다.
tar를 이용하여 /usr 와 /var /home 디렉토리를 /mnt/hda으로 이동하도록 하자.
권한이 바뀌면 안되므로 tar의 p 옵션을 사용하자.
묶을 때는 이렇게 하면 된다.
tar cpf usr.tar /usr
풀때는 이렇게 한다.
tar xpf usr.tar
/var과 /home 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mnt/hda으로 옮긴다.
옮긴후 /etc/fstab을 수정한다.
필자의 설정이다.
# /etc/fstab: static file system information.
#
# <file system> <mount point> <type> <options> <dump> <pass>
/dev/hda1 / ext3 defaults,noatime,errors=remount-ro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dev/hda2 swap swap defaults 0 0
/dev/hda3 /mnt/hda ext3 defaults,noatime 0 0
/mnt/hda/home /home none bind
/mnt/hda/usr /usr none bind
/mnt/hda/var /var none bind
-------------------------------------
mount -a 명령으로 옮긴 디렉토리를 마운트 한다.
옮긴 디렉토리가 잘 되었는지 /usr 와 /var /home 에 들어가서 확인해본다.
리부팅을 해봐서 이상이 없다면 잘 된 것이다.
이제 기존의 /usr , /var, /home 디렉토리를 삭제할 차례이다.
/mnt/hda 에 temp 디렉토리를 임시로 만든다.
/dev/hda1 디렉토리를 /mnt/hda/temp에 마운트 시킨 후 /mnt/hda/temp/usr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삭제한다.
단, 삭제시 혹시나 현재 작동되는 /usr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실수를 범하지 말기 바란다.
그럴때는 위의 tar 파일로 즉시 복구하면 된다.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mount -t ext3 /dev/hda1 /mnt/hda/temp
cd /mnt/hda/temp/usr
rm -r *
같은 방법으로 /var과 /home을 처리한다.
단 /usr /var /home 폴더는 빈 폴더가 원래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위의 명령어도 본래 폴더를 지우지는 않습니다.
reboot후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
무탈님이 bind를 써서 mount 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하시는군요. /etc/fstab을 수정하여 mount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간단한 방법은 심볼릭 링크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디렉토리 옮기고 ln -s /mnt/hda/usr /usr 이런식으로 심볼릭 링크를 걸어주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단 심볼릭 링크시는 fstab은 수정하실 필요없습니다.
간단히 명령을 써보았습니다.
cp -Rdp /usr /mnt/hda/
rm -R /usr
ln -s /mnt/hda/usr /usr
cp -Rdp /var /mnt/hda/
rm -R /var
ln -s /mnt/hda/var /var
cp -Rdp /home /mnt/hda/
rm -R /home
ln -s /mnt/hda/home /home
데비안 패키지 업데이트는 다음에 또...